정부 "내년 성장률 1.6%…수출·투자 살려 극복"

  • 작년
정부 "내년 성장률 1.6%…수출·투자 살려 극복"

[앵커]

정부의 내년 경제정책 방향이 공개됐습니다.

그런데 전망이 매우 우울합니다.

경제성장은 1%대에 그치고 일자리 증가는 올해의 8분의 1로 급감한다는 게 골자인데요.

정부는 수출, 투자 지원을 늘리는 한편, 내수 진작 차원에서 대체공휴일도 늘릴 계획입니다.

김동욱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제시한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당초 전망보다 1%p 가까이 낮은 1.6%입니다.

한국은행 전망치 1.7%보다도 낮고 마이너스 성장을 예상한 노무라증권 등 외국계 투자은행들을 빼면 가장 비관적입니다.

정부가 이런 전망을 내놓은 것은 글로벌 경기 위축 탓에 성장 엔진인 수출이 급격히 얼어붙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 증가율도 기존 전망치 11%를 크게 밑도는 6.6%에 그치고, 내년엔 아예 4.5% 줄 것이란 게 정부 전망입니다.

경기 돌파구가 안 보이니 올해 81만 개 늘어난 일자리가 내년엔 10만 개밖에 늘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더해졌습니다.

"주요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 영향이 실물경제 어려움으로 본격 전이되는 가운데, 대외의존도 높은 우리 경제도 수출을 중심으로 하강 속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수출, 투자 활성화를 통한 위기 극복 계획을 밝혔습니다.

반도체 등 주력산업, 해외건설, 중소·벤처, 관광·콘텐츠, 디지털·바이오·우주 등 5대 분야 중심으로 수출 경쟁력 제고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또 '신성장 4.0 전략'을 통해 미래형 모빌리티와 양자기술 등 미래산업 중심의 성장동력을 확보할 방침입니다.

투자 촉진을 위해 내년 발생한 투자증가분의 공제율을 10%로 상향하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정책 금융은 금융안정과 중소기업·수출 지원 등 중심으로 사상 최대 540조 원을 공급합니다.

또 내수 진작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부처님오신날과 성탄절을 대체공휴일로 추가 지정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정부가 건전재정 기조를 유지하고 있고 한은도 긴축정책을 이어가고 있는 만큼, 돈을 풀어 경기 부양에 나서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 (dk1@yna.co.kr)

#기재부 #추경호 #경제정책방향 #성장률 #수출 #정책금융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